연금보험공시 조회
기준일, 납입보험료, 적립금, 해지환급금, 누적수익률 제공
기준일 2025.01.01
납입보험료 100,000,000원
적립금 10,000,000원
해지환급금 10.000원
누적수익률 10.00%

계산기준

  • 납입보험료: 기본계약(적립계약) 총 납입보험료
  • 적립금 = 적립원리금 + 배당적립금 + 기존지급연금액
  • 해지환급금: 해지 시 지급되는 환급금(기타소득세, 해지가산세 및 보험계약대출 원리금이 차감되기 전 금액)
  • 누적수익률 = {(적립금 ÷ 납입보험료) - 1} × 100
    • 연금저축은 장기상품으로 수수료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.
    • 은행, 자산운용사는 적립금에 비례해 수수료를 부과하므로 일반적으로 가입기간이 지날수록 수수료가 늘어나는 반면, 보험회사는 납입보험료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부과하므로 보험료 변동이 없다면 수수료가 늘어나지 않습니다.
    • 따라서, 보험회사의 경우 계약 초기에는 수수료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기간이 지날수록 낮아지는 구조이므로 계약 초기에는 마이너스(-) 수익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연금저축은 초기 수수료로 인해 대부분 수익률이 계약체결 후 마이너스(-)를 나타내고 있으나, 일정 기간 후 플러스(+)로 전환되고 있습니다.
    • 연금 개시시점의 수익률 관련 자세한 내용은 계약담당자에게 문의해주세요.

금융기관별 연금저축 수수료 비교

수수료 비교
수수료 누계, 기간(년)을 기준으로 수수료 비교 이미지
실수익률 비교
실수익률(%), 기간(년)을 기준으로 실수익률 비교 이미지

수수료가 연금 수익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?

  • 보험회사(연금저축)
    • 원리: 납입보험료를 기준으로 확정된 수수료를 보험기간 내 나눠서 부과(납입보험료 미변동 시)
    • 특성: 원금 및 운용수익이 적은 계약 초기에는 수수료 금액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, 계약 후반에는 원금 및 운용수익이 증가한 경우 수수료 비중이 낮아짐(만기수익률 증가)
  • 은행, 자산운용사(연금신탁)
    • 원리: 납입한 원금 및 운용수익 누적금액에 매년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곱하여 공제
    • 특성: 원금 및 운용수익이 적은 계약 초기에는 수수료 금액이 낮은 비중을 차지하나, 일정비율의 수수료를 부과함에 따라 원금 및 운용수익이 증가한 경우 수수료 비중이 높아짐(만기수익률 감소)